top of page
조평세
Nov 30, 20229 min read
통일은 과연 어떤 모습으로 올까?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라고 말하지만, 사실 통일은 매우 막연하다. 분단과 6.25전쟁 후 두 세대를 훌쩍 지나면서, 젊은층일수록 통일을 구시대의 정치 슬로건 정도로 인식하거나 현실과 동떨어진 추상으로 여긴다. 게다가 북한정권은 핵개발을 완성하면서...
0 comments
조평세
Nov 17, 20226 min read
지난 미국 중간선거의 의미와 교훈
미국 국민은 매 2년마다 정부를 심판할 기회를 갖는다. 선출제 아래 있는 행정부와 상하원 입법부는 각각 서로 간의 견제와 균형을 이룸과 동시에, 4년마다 돌아오는 대통령 선거와 그 사이에 있는 중간선거를 통해 국민의 직접적인 견제도 한번 더 받는...
0 comments
조평세
Oct 1, 20226 min read
성문화센터? 성교육이야, 성인샵이야?
‘성 문화(sex culture)’라 함은 단순히 성적활동을 넘어 성적 유희, 그리고 이를 통한 상업적 활동 및 의식화를 뜻하거나 연상시킨다. 국도나 고속도로 갓길에서 간혹 볼 수 있는 ‘성인용품’ 간판과 유흥가의 네온라이트가 떠오르기도 한다....
0 comments
조평세
Jul 4, 20225 min read
평화파괴자 편에 선 평화주의자들
푸틴에게 참 ‘쓸모 있는 바보들’ 냉전 시기 소련은 자유세계와 국제사회 내에서 의도적으로 다양한 평화 및 군축 시민운동을 일으키고 지원했다. ‘세계 평화’를 구호로 삼은 많은 국제 및 시민사회 단체들이 소련 공산당에 의해 기획되어 운영되었고,...
0 comments
조평세
Jun 24, 20223 min read
'전청연 바로서다' 6.25전쟁 72주년 성명서
2030청년들이 주축이 된 전국청년연합 ‘바로서다’는 6·25전쟁 발발 72주년을 맞아, 70여 년 전 반민족·반인도·반문명적 집단의 불법 침략으로 초래된 한국전쟁을 올바로 인식하고, 이에 맞선 자유인의 위대한 희생으로 치러낸 문명 수호에 마땅히...
0 comments
조평세
Apr 10, 20225 min read
구텐베르크 혁명과 종교개혁이 일깨운 ‘독립정신’
근대사의 가장 큰 전환점을 선정하라고 한다면 대부분의 역사학자들은 열 손가락 안에 종교개혁을 꼽을 것이다. 근대 지성사의 세계적 권위자인 켄틴 스키너(Quentin Skinner) 교수는 『근대 정치사상의 토대 I, II』라는 두 권의 명저에서...
0 comments
조평세
Dec 23, 20216 min read
자유의 보전은 'Bible Literacy'에 달려있다
2022년 새해를 시작하는 기대와 바람이 예년보다도 무척 크다. 딱히 어떤 새 시대에 대한 기대라기보다는 지난 세월에 대한 환멸 때문일 것이다. 5년 전 소위 ‘촛불혁명 정부’라며 등장한 현 정부는 안보와 경제는 물론 법과 질서까지 빠른 속도로...
0 comments
조평세
Dec 2, 20216 min read
6천2백만 명을 죽인 '로대웨이드' 판결, 뒤집히나?
지난 12월 1일, 미국 연방대법원에서 역사적인 구두변론이 열렸다. 바로 1973년 ‘로 대 웨이드(Roe v. Wade)’ 낙태합법화 판결을 거의 반세기만에 뒤집을 수 있는 ‘돕스 대 잭슨(Dobbs v. Jackson)’ 사건에 대한 양측의...
0 comments
조평세
Oct 1, 20215 min read
1년 사이 뒤바뀐 미국 대법원 판결, 왜?
지난 8월 31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LA) 카운티는 그레이스커뮤니티교회에 40만 달러(약 4억 6,700만 원)의 합의금을 지급해야만 했다. 코로나19 방역을 이유로 미국 수정헌법 1조를 어기며 이 교회의 예배를 제한했다는 이유다....
0 comments
조평세
Jul 31, 20214 min read
한국교회와 대한민국을 살릴 북한자유운동
한국교회와 교인들이 북한의 포로된 자들을 기억하고 그들의 자유를 위해 목소리를 높여야 할 이유는 무엇일까. 한민족이라서? 인권이 “인류 보편의 가치”라서? 북한 주민들이 불쌍해서? 이는 물론 틀린 이유들은 아니지만 교회의 이유는 아니다. 예수를...
0 comments
조평세
Jun 1, 20215 min read
기독교는 왜 ‘평화주의’가 아닌가
전쟁의 참혹함을 부정하는 사람은 없다. 그러나 전쟁이 인간사의 필연적 현상이라는 사실도 부정할 수 없다. 그렇다면 기독교인은 전쟁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까. 기독교인이 찬성하거나 지지할 수 있는 전쟁이 있을까. 기독교인이 반대하거나 경계해야 할...
0 comments
조평세
Apr 30, 20217 min read
출애굽기를 통해 보는 '국민됨'의 조건
국민(nation/people)이란 무엇인가. 국민은 어떻게 형성되고 유지되는가. 그리고 국민은 어떻게 스스로 통치하며 바람직한 국가를 이룰 수 있는가. 이는 정치철학의 가장 근본적인 질문들이다. 한국어로는 종종 ‘민족’으로 번역되어 종족주의적인...
0 comments
조평세
Apr 10, 20215 min read
미 의회 ‘대북전단금지법’ 청문회가 늦어진 배경
4월 15일로 일정이 잡힌 미 의회 '대북전단금지법' 청문회 지난 3월 30일, ‘대북전단금지법’(남북관계 발전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시행에 들어갔다. 이는 군사분계선 일대에서 대북확성기 방송, 시각 매개물 게시, 전단 살포 등을 할 경우 최대...
0 comments
조평세
Jan 10, 20214 min read
트럼프를 보내며...
“It’s been one helluva ride. Oh, I really hate to see it end this way. Oh my God, I hate it!(정말 끝내주는 4년의 여정이었습니다. 아, 이런 식으로 끝나는 것을 보는게 너무...
0 comments
조평세
Dec 23, 20205 min read
2020년의 Top 7 보수주의 책 (미국)
미국에서 2020년 한 해 동안에는 다른 때보다 특별히 더 많고 좋은 보수주의 책들이 출간되었다. 많은 대중강연 행사가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취소되면서 보수주의 저자들이 그동안 미뤄왔던 집필에 몰두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11월에 중요한...
0 comments
조평세
Dec 17, 20205 min read
보수주의자라면 반드시 읽어야 할 책들 (국문)
"누가 스스로 보수주의자라고 선언할 때, 불행하게도, 그 즉시 '불의 혀'를 받는 것마냥 그가 모든 것을 다 알게 되지 않는다. 일련의 기본전제를 받아들이는 것은 작은 시작일 뿐이다. 이후 우리는 끊임없이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이며, 우리의 전제와...
0 comments
조평세
Dec 15, 20207 min read
미국 부정선거 논란과 남은 조지아 선거
11월 3일 미국 대선 이후 한 달이 훌쩍 지나고 12월 8일 ‘세이프하버’ 기한까지 지난 현재에도, 미국의 부정선거 논란과 연이은 소송전은 계속되고 있다. 세이프하버 기한이란 각 주의 선거인단이 모여 투표하는 ‘12월 두 번째 수요일 다음...
0 comments
조평세
Dec 10, 20204 min read
문화막시즘이 드러낸 사회주의의 반(反)기독교적 본질
기존 경제적 마르크스주의(사회주의)가 경제이론의 탈을 쓰고 의식과 물질세계의 변화를 꿈꿨다면, 문화막시즘은 문화를 통해 무의식의 세계까지 지배하려 하는 전략이다. 기존 마르크스주의가 노동자를 해방하기 위해 그들을 억압하고 있는 자본주의와...
0 comments
조평세
Dec 4, 20206 min read
1620년에 태동한 1776년의 자유
혼돈과 탄식의 2020년이 지나갔다. 특히 미국의 2020년은 코로나로 인한 보건위기 및 경기침체에 더해, 1월 트럼프 대통령 탄핵안 의회상정과 5월 조지 플로이드의 죽음으로 재점화된 ‘Black Lives Matter(BLM) 폭동시위, 그리고...
0 comments
조평세
Nov 23, 20204 min read
세계 최초 반공 학생 의거
11월 23일은 연평도 포격일이다. 북한군의 포격으로 우리 장병 두 명과 민간인도 두 명이 사망했다. 당시 전사한 서정우 병장은 말년 휴가를 떠나는 길에 부대에 포가 떨어지는 것을 보고 즉시 다시 부대로 복귀하러 달려가다 포탄에 맞아 사망했다고...
0 comments
bottom of page